🥪경제공부 9

[경제떠먹기] 원·달러 환율이 왜 계속 오를까?💲

1년 전 1달러당 1175원을 밑돌던 원·달러 환율이 2009년 이후 약 13년 4개월 만에 1340원을 돌파했습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올 2월 정도에만 해도 1200원을 밑돌았었는데, 몇 개월만에 왜 이렇게 오른걸까요? ​ 1. 미국의 적극적인 기준금리 인상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 미국의 중앙은행)은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빅스텝(기준금리 0.5%p 인상),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해왔는데요, 이로 인해 지난 7월 기준 기준금리가 2.5%까지 올랐습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 은행의 대출이자가 오르고, 이로 인해 대출, 투자, 소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시중에 돌고 있는 달러의 양이 줄어드니 달러의 상대적 가치가 올라가게 된 것입니다. 지난 26일..

🥪경제공부 2022.08.28

[투자공부] 연금저축펀드, IRP를 왜 반드시 가입하라고 할까?

입사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저의 뜨거웠던 여름방학이.... 이렇게 끝나네요...😮‍💨 앞으로의 수입을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지 지난 몇 주간 생각이 날 때마다 짱구를 굴려봤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산관리를 하면 좋을지는 아직 생각을 안해봤기 때문에 조금씩 알아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존리, 박곰희 등 제가 챙겨보는 투자자분들께서 꼭 가입하라고 했던 연금저축펀드과 IRP 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연금저축은 노후에 매월 연금을 타서 생활비로 충당할 수 있으면서 납입을 하고 있는 기간 동안에는 연간 최대 66만원(혹은 52.8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개인연금 상품입니다. 정부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엄청난 세제혜택을 준 것인데요. ​ 연간 최대 400만..

🥪경제공부 2022.08.23

[경제떠먹기] '도심 내집 마련'을 위한 윤정부의 주택공급 대책은?

지난 16일 윤석열 정부의 첫 주택공급 대책인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이 공개되었는데요, 시장이 특히 주목하고 있는 '도심 내집 마련 기회 확대'를 위한 재개발·재건축 관련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 대부분의 부동산 및 경제전문가들은 이번 발표에 '의견을 유보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요, 이유는 방향성만 있지 구체적으로 언제, 어느 정도 규모로 진행될 것인지를 이야기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장상황을 지켜보며 점차적으로 구체화할 계획인 것 같은데.. 조금 답답하게 느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도 우선은 큰 그림을 살피는 측면에서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향후 5년간 모두 270만가구를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에만 50만가구, 수도권엔 158만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방 대도시에..

🥪경제공부 2022.08.18

[경제떠먹기] 서울 아파트 낙찰률 13년만에 최저,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 올해 최저, 그 의미는?😳

지난 번에 읽은 책 '부동산 유치원-어른살이를 위한 진짜 교양' 을 통해 부동산 매매시장의 선행지표인 낙찰률, 낙찰가율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요, 이번에 관련 기사가 떠서 바로 스크랩 해보았습니다 💁 (서울 아파트 경매)낙찰률은 26.6%로 전월(56.1%)보다 29.5%포인트 하락하면서 지난 2008년 12월(22.5%) 이후 13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 '서울 아파트 낙찰률 26.6%…13년 만에 '최저' 기록' 낙찰률은 경매 건수 대비 낙찰 건수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률은 이전 6월에 비해 크게 하락해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경매는 신청 후 감정평가를 거쳐 실제 입찰에 들어가기까지 6개월 이상 소요되..

🥪경제공부 2022.08.15

[경제떠먹기] 쏘카 수요예측 흥행 실패, 공모가 2만 8천원 확정, 코스피 상장

지난 6월 말에 쏘카 IPO 관련 뉴스를 블로그에 올렸었는데요, 오늘은 쏘카의 수요예측 결과 및 공모가 확정 관련 기사를 한 번 뜯어보려 합니다👀 ​ 관련해서 많은 기사들이 쏟아졌는데 저는 이코노미스트에서 낸 아래 기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습니다. (*혹시 내용 중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43/0000029612?cds=news_edit 쏘카 공모가 2만8000원 확정…상장 후 시총 1조 밑돌아 차량 공유 업체 쏘카가 공모가를 2만8000원으로 확정했다. 쏘카 측이 희망했던 기존 공모가 하단(3만4000원)보다 17% 이상 낮은 수준이다. 다소 아쉬운 결과가 나왔지만, 상장을 완주하겠다는 쏘카 n.news.nav..

🥪경제공부 2022.08.10

[경제떠먹기] 1800원대가 된 휘발유값, 왜 떨어졌을까?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제 관련 뉴스를 요약한 포스트입니다. ​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주유소 간판을 보면 ℓ(리터)당 휘발유 가격이 2000원을 훌쩍 넘었습니다. 저는 매일 집 앞에 있는 주유소 가격을 확인해왔었는데요, 한 2주 전부터인가요 가격이 조금씩 떨어지는게 눈에 보이더라구요. 그러더니 지난 주부터는 1800원대까지 보이더라구요, 단시간에 휘발유 가격이 이렇게 떨어진 이유가 무얼까 궁금해졌습니다. ​ 첫째, 국제 원유 가격의 하락. 아래 국내 수입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의 6월부터 7월 중순까지의 가격을 보면 6월 중순과 말에 가격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유가가 떨어지고 있는 주된 이유는 글로벌 긴축 기조로 경기 전반적으로 소비 및 투자 심리가 약화되고 있다보니 원유에 대한 수요가 떨어..

🥪경제공부 2022.08.04

[경제떠먹기] 계속되는 물가상승에 소비심리 위축,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 6.3%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제 관련 뉴스를 요약한 포스트입니다. 계속되는 물가상승에 소비심리 위축,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 6.3%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로 2020년 동월 대비 6.3% 증가했습니다. 지난 6월 상승률은 6.0%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으로 6%를 넘어선 것은 1998년 10월(7.2%), 11월(6.8%) 이후 처음입니다. 공업제품(8.9%), 서비스(4.0%), 농축산물(7.1%), 전기/가스/수(15.7%) 품목이 물가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공업제품의 경우 석유류가 35.1%로 (2020년 대비) 상승폭이 컸으며, 농축산물의 경우 수입쇠고기(24.7%), 채소류(25.9%) 등의 상승폭이 컸습니다. 지난 달..

🥪경제공부 2022.08.02

[경제떠먹기] DSR 규제 강화; 실수요자 대상 주담대 규제 완화;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제 관련 뉴스를 요약한 포스트입니다. 가계 부채 줄이기 위해 DSR 규제 강화 작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200%를 넘어섰습니다. 쉽게 말해 가계 빚이 실제 쓸 수 있는 소득보다 두 배 이상 커진 것입니다.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은 2020년 기준 OECD 국가 중 5번째로, 매우 심각한 수준인데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DSR 규제 강화'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DSR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으로 본인의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총 대출 원리금의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본인의 소득이 연 5000만원이고, 이 중 대출 원리금으로 200만원이 나간다면 DSR은 40%가 됩니다. DSR은 현재 40%인데, 이번에 변화한 부분은 바..

🥪경제공부 2022.07.03

[경제떠먹기] 증가하는 월세 수요;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경제 관련 뉴스를 요약한 포스트입니다. 이제 전세보다는 월세? 월세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만 있는 주택임대차 제도, 바로 '전세'입니다. 저금리시대에는 이자가 월세보다 저렴했기 때문에 대출을 받아서 전세 보증금을 충당하는 방향이 더 경제적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5월에는 단 한 달만에 월세 거래건이 전체 전월세 거래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1% 증가했습니다. 이제 월세 거래비중이 거의 60%에 가까워졌는데요, 지난 4월 11년만에 처음으로 50%를 넘어선 것도 모자라 한 달만에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된 것이죠. ​ 특히 최근에 이렇게 월세 수요가 치솟은 이유는 금리상승 때문입니다.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증가해 매달 지불해야 하는 이자와 월세를 비교해보았을 때 ..

🥪경제공부 202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