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X부문 면접을 준비하며 메모한 내용 중 일부를 포스팅합니다 🙂
2022 Q1 DX부문 매출, 영업이익
- 전체 매출액 77조, 이 중 DX부문 매출 약 67% (통신 약 34조원, 가전 16조원)
- 영업이익은 전체 기준 14.1조로, 약 18.3%의 영업이익률(디스플레이는 11.5%, 통신 10.7%, 가전 4.8%)
- 갤럭시S22 GOS 이슈에도 불구 영향 크게 없음, 이 영향은 2분기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
- MX, IE 제품은 제품력+원가 싸움, 스마트폰의 경우 애플은 500불 이상의 제품 단가로 20% 후반의 영업마진, 삼성전자는 200불 후반 단가로 10% 초반 마진, 중국은 보다 저렴하고 4-5% 마진
- 가전은 작년 상반기 1조원 이상의 이익과 대비하면 0.8조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양호한 손익
CES 2022 키노트 요약
- 미래를 위한 동행(Together for tommorrow)
- 고도화된 연결성과 맞춤화 경험을 기반으로 한 기술 혁신
- 소비자에게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가치 제공하는 것 초점
- #YouMake 프로젝트, 자신만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제품, 서비스 만들수 있도록 해 고객들에게 라이프 스타일 선택권을 넓히도록 (장기적 계획)
- 홈허브, 스마트싱스로 연결된 여러 가전 활용 맞춤형 AI 솔루션 제공, 태블릿 형태
- 자체 생태계 강화, IoT 미래 스마트싱스 허브 소프트웨어 선보임, 올해 출시 예정인 가전들에 적용돼 별도 IoT 허브 불필요
- 글로벌 가전 업체와 협업해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 발족, 가전 제품에 최적화된 IoT 표준 정립, 전 세계 소비자들 다양한 브랜드 가전 하나의 IoT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다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사회
- 지속 가능한 일상 : 탄소 배출 저감 관련 카본 트러스트 인증, QLED, 버즈 등 재활용 소재 적용
- Solve for Tommorrow, Samsung Innovation Campus 등 사회 공헌 프로그램
CES2022 비스포크 냉장고 특징
- 팬데믹으로 인한 가정 중심(Home-centric) 트렌드 확산
- '맞춤형 키친', '더 스마트한 키친', '지속 가능한 키친'
- 집에 오래 머물게 되며 내 취향으로 리모델링하고자 하는 니즈 증가
- 현재 미국 역시 국내와 마찬가지로 주방을 모던하게 꾸미는 것이 트렌드
- => 비스포크 냉장고 북미 시장 타겟 프렌치도어(FDR) 4도어, 3도어로 라인업 확장, 1~4도어 모든 라인업 구축 완료
- => 도어 패널 재질, 컬러 옵션 8종 > 12종으로 확대, 4도어 기준 총 2만개 경우의 수
- 베버리지 센터(Beverage Center), 정수된 물이 나오는 디스펜서가 도어 내부에 있어 위생적 관리, 디자인 측면에서 모두 good
- 비스포크 아뜰리에로 스크린에 국내외 작가 작품으로 나만의 전시회 열 수 있음
- 비스포크 패밀리허브 라인업에 추가, 전면의 스크린으로 음악, 동영상 즐길 수 있고, 주방 가전 및 스마트 기기 제어 가능
- 팬데믹으로 인한 홈 쿡 인구 증가, 조리과정에 번거로움 느끼는 사용자 증가
- => 스마트싱스(SmartThing) 활용 쿠킹 서비스로 소비자 취향과 식이요법 반영 식단 계획, 쿠킹 레시피 추천 등
- => 예열 시간 등 조리단계별 필요 정보 음성 제공 등 심리스 한 조리 경험 선사
- 환경에 대한 관심 계속 증가 추세
- => 에너지 고효율 등급, 도어 패널만 교체 가능 한 제품 오랫동안 사용 가능 등
CES2022 더 프리스타일 특징
- 팬데믹 후 개인 공간 더 중요해짐, 침실 같은 휴식 공간의 엔터테인먼트 용도 부각, 자투리 공간 활용 사용자 증가 추세, 캠핑 등 야외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욕구 증가 추세
- => Personal, Movable, Smart 스크린인 포터블 스크린 '더 프리스타일'
- 830그램의 가벼운 무게, movable
- 오토 키스톤, 오토 포커스 등 기능
- 삼성TV와 동일하게 다양한 OTT 포함한 스마트 TV 서비스 지원
- 180도 회전 가능, 어디든 투사가능
- MX 사업부와의 긴밀한 협업, 본체 갤럭시 연동 버튼 탑재해 버튼 누르면 바로 모바일 리모컨 사용 가능, 모바일 핫스판 간단 연결 가능 등 야외에서 불편한 부분들 세심히 고려
CES2022 갤럭시 S21 FE 특징
- FE는 Fan Edition, 갤럭시 S21에서 사용자에게 반응 좋았던 기능만 모아 출시, 갤럭시S 시리즈 경험 많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기획, 가성비 모델
- MZ세대 전면 카메라 활용도 높아 32M 고해상도 전면 카메라 탑재
- 수천 명 팬들, 내부 젊은 임직원 대상 갤럭시 시리즈 관련 조사 진행, 갤럭시를 '끊임없는 혁신의 상징'으로 인식
참고
------
삼성증권 2022 Q1 삼성전자 COMPANY UPDATE
“혁신이 집약된 제품·기술을 소개합니다” CES 2022 분야별 전문가가 꼽은 주력 포인트 ①
'🍞산업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시장] 중국 MZ세대 특징 요약 (0) | 2022.05.30 |
---|---|
[스마트폰/가전] 삼성전자 2022 DX부문 경영 전략 (0) | 2022.05.29 |
IT 기업 기획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애자일 방법론! (0) | 2022.05.26 |
[IT떠먹기] 카카오, 티맵 대리운전 사업확장 제한; 디지털 치료제 임상 (0) | 2022.05.25 |
[모빌리티] 현대차 미래사업을 위해 UAM 등에 대규모 투자, UAM이란?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