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개발한 이음5G 전용 정보 통신 장치를 네이버 제2사옥인 '1784'에 설치했다.
이를 통해 1784 내 다양한 로봇들이 이음 5G에 연결된 클라우드(로봇의 뇌처럼 기능)를 통해 로봇 간 정보통신, 자율주행 경로 실시간 제어 등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협력은 세계 최초로 이음 5G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클라우드를 뇌처럼 활용하는 로봇을 '브레인리스 로봇'이라 한다. 기존에는 로봇에 컴퓨터를 달아서 조종했다면, 이제는 카메라, 모터 등만 달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브레인리스 로봇의 핵심은 클라우드와의 끊김없는 연결, 일명 초저지연 연결이다. 이 연결을 가능하게 할 통신기술이 바로 5G다. 이음 5G란 전문 이동통신사업자가 아닌 일반 기업에서 직접 5G 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5G 주파수를 활용하는 통신망이다.
참고
----
https://m.mk.co.kr/news/it/view/2022/06/486786/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790
'🍞산업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떠먹기] 기아 첫 PBV 니로 플러스 출시; 카카오모빌리티 탁송 서비스 시동; 구글 인앱결제 강제 시작 (0) | 2022.06.04 |
---|---|
[웹 3.0] 루나 코인 붕괴 핵심 요약 😾 (1) | 2022.06.03 |
[IT떠먹기] 마이크로소프트, 카카오모빌리티, 네이버랩스의 디지털트윈 기술 (0) | 2022.06.01 |
[중국 시장] 중국 MZ세대 특징 요약 (0) | 2022.05.30 |
[스마트폰/가전] 삼성전자 2022 DX부문 경영 전략 (0) | 2022.05.29 |